[아름다운 우리말] 말이 형식적으로 변하면
사람이 하는 말은 원래 구체적입니다.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말의 시작이 무엇을 가리키고 설명하고자 할 때 정확한 의미를 전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말이 점점 발달하고 복잡해지면서 말 사이의 기능을 표현해야 할 일이 생깁니다. 우리말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것이 조사와 어미입니다. 말로 할 때와 글로 할 때도 차이가 있습니다. 말로 할 때는 아무래도 상황이나 맥락이 작용합니다. 따라서 기능에 해당하는 말이 덜 필요합니다. 실제로 우리가 하는 말을 들여다보면 문법에 틀린 말도 많습니다. 그래도 말이 통합니다. 그것은 상황이 그렇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 조사를 적게 쓰는 것도 상황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런데 글로 쓰면 상황이 달라집니다. 글은 상황이 배제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자칫하면 수많은 오해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더 정확한 조사 사용과 어미 사용이 필요합니다. 높임도 시제도 부정확하게 표현하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어쩌면 문법이 복잡해진 것은 글 때문일 겁니다. 문법(文法)이라는 말에 문(文)이 들어 있는 것도 그래서라는 생각이 듭니다. 어법(語法)과는 다른 느낌의 표현입니다. 언어학의 주 연구 대상이 글이 아니라 말이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좀 특이한 명명(命名)입니다. 그러면 어떤 말이 기능을 나타내는 형식적인 말이 될까요? 처음에는 그 말도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었던 말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형식적인 말이 되는 현상을 문법화라고 합니다. 문법화는 문법 기능이 아니었던 말이 문법의 기능을 하게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원래 실질적인 의미가 있었던 말인데 같은 자리에서 같은 기능을 반복하다 보니 실질적인 의미를 잃어버리는 겁니다. 대표적인 예를 몇 가지 들어볼까요? 제일 쉽게 눈에 띄는 것이 ‘부터’입니다. ‘붙어’라는 말이 점점 의미가 약해지면서 단지 시작점을 나타내는 의미로 바뀐 겁니다. 원래는 대상에 붙어 있었던 겁니다. 조차라는 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좇아가는 것’이 ‘조차’로 굳어진 것입니다. 이제 움직임이 없어도 조차라고 씁니다. ‘붙어, 좇아’와 혼동이 될까 봐 아예 표기까지 ‘부터, 조차’로 바꾸었습니다. 의존명사에도 이런 문법화의 예는 많이 나타납니다. ‘~는 법이다’, ‘~는 고사하고’, ‘~는 바람에’ 등에 보이는 ‘법, 고사, 바람’은 각각 실질적인 의미가 있었습니다. 우리가 보조동사라는 하는 말에도 이런 표현이 잔뜩 들어있습니다. ‘~어 두다’, ‘~어 주다’, ‘~어 버리다’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원래의 의미는 형식적인 의미로 변하였습니다. ‘~어 버리다’의 경우는 방언에서는 ‘~어 뿌리다’ 등의 모양으로까지 바뀌어서 원래와의 관련성을 잃고 있습니다. 아마도 다른 기능어도 ‘뿌리다’처럼 모양이 변하였기에 기원을 알 수 있게 되었을 겁니다. ‘더러’라는 말은 ‘다리다’에서 온 말이지만 기원이 희미해졌습니다. ‘까지’도 ‘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한편 어떤 말은 문법화 과정에 있어서 흥미롭습니다. 대표적인 말이 ‘보고’입니다. 본다는 말은 눈으로 보는 시각적 행위를 의미합니다만 그러나 이 말이 형식적으로 바뀌면 직접 보지 않는 경우에도 쓸 수 있습니다. ‘꽃 보고 예쁘다고 한다’라는 말에서는 ‘보다’의 의미이지만 ‘너 보고 이상하대’라고 할 때는 본다는 말은 흔적만 남았습니다. 이제는 보고가 ‘한테’나 ‘에게’처럼 쓰입니다. 아마도 시간이 지나면 ‘보고’도 ‘부터’나 ‘조차’처럼 형식만 남게 될 겁니다. 언어는 변합니다. 어떤 말은 실제적인 의미를 덜어내고, 관계를 나타내는 말로 또는 뜻을 더하는 말로 역할을 바꾸어 나갈 겁니다. 언어의 변화가 참 재미있습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형식 문법 기능 문법화 과정 조사 사용